- 영문명
- Effects of VR Physical Education Class on Exercise effort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pleasure, Exercise Self-efficacy, Exercise sustain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영재(Im, YoungJae) 이경희(Lee, Gyeou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9호, 699~72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0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VR 체육 수업이 학생들의 운동노력,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5학년 212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6월 7일까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모형을 적용한 준실험 연구를 설계하여, 총 10회기(20차시)에 걸친 VR 체육 수업을 실험집단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VR 체육 수업을 경험한 학습자 집단과 전통적인 체육 수업을 받은 학습자 집단 간에 운동노력,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를 검정한 결과 남학생은 지각된 즐거움, 여학생은 지각된 즐거움과 운동지속의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지각된 즐거움과 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운동노력과 지각된 건강상태는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VR 체육 수업의 활용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R physical education program on students exercise effort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pleasur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sustainability in physic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design model was designed for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 total of 10 VR physical education program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ly,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exercise efforts, perceived pleasur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sustainability between learners who experienced VR physical education program and those who received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Second,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pleasure for male students and perceived pleasure and exercise sustainability for female students. Third, perceived pleasure and exercise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sustainability, and exercise efforts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exercise sustain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VR physical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