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Intrusive/Deliberate rumination on University Students on Suicide Risk through Mediation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In accordance with Level of Depression PDF ic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춘경(Kim, Choon Kyung) 조민규(Cho, Min Ky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9호, 925~9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에 따라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가 생명존중의식을 매개로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차이를 파악하고, 자살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 및 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반추, 생명존중의식, 자살위험성, 우울 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SPSS를 활용하여 우울 수준에 따라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양육태도, 공감능력,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은 애착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반추는 우울 수준에 따라 영향력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수준에 따른 인과관계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높은 우울 수준을 가진 대학생들의 침습적 반추는 생명존중의식을 매개로 자살위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낮은 우울 수준을 가진 대학생들의 의도적 반추는 생명존중의식을 매개로 자살위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intrusive/deliberate rumination on suicidal risk through mediation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depres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and to suggest an effective way to reduce suicidal risk. For this research, 210 numbers of universtiy student from kyung-buk/daegu province completed questionaires assessing ruminati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and suicidal risk. Based on these data, we used sps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influence among variable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As a result, first, intrusive/deliberate ruminati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and suicidal ris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Second, rumination showed a difference in influ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The causal result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are described in detail. Intrusive rumin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e risk through mediation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On the contrary, deliberate rumin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low depression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e risk through mediation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