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박성준 박치완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17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97~100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10

국문 초록
랜드마크가 그 지역 이미지 구축을 위해 활용됨으로 인해 랜드마크의 인지 정도는 랜드마크에서 중요한 특성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랜드마크는 보통 구조물 자체가 특이한 형태를 가지고 있거나 주변 환경이 잘 기억될 수 있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랜드마크 건축물의 짓는 방법으로 최근 해체주의 건축물을 짓는 경우가 많은데, 사선, 곡선, 더 나아가 비기하학적인 자유곡선과 같은 파격적인 형태를 사용하는 해체주의 건축물은 비일상적이고 배경과 동화되지 않는, 소위 눈에 띄는 구조적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로 빌바오의 구겐하임 뮤지엄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서울의 동대문 디지털 프라자(DDP)와 부산의 영화의 전당을 들 수 있겠다. 필자는 부산 ‘영화의 전당’을 중심으로 이러한 랜드마크로서 활용된 해체주의 건축물을 건축과 거주함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해체주의 건축물을 비판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해체주의 건축, 영화의 전당
3. 해체주의 건축과 거주함
4.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