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전지영 김진영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18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143~14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16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1993년 UR 협상 타결과 1995년 WTO 출범으로 농수축산물의 수입시장 개방이 이뤄지면서 우리식탁의 먹거리 안전 위협과 지역경제 침체 등 농촌사회는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위해 그 지역에서 생산하고 소비하는 ‘로컬푸드’에 대한 관심과 운동이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일본의 지산지소(地産地消)운동의 성공사례를 국내에 벤치마킹하여 성공지역으로 우뚝 선 대한민국 ‘로컬푸드 1번지’인 완주지역은 로컬푸드 직매장, 농가레스토랑, 건강한밥상 꾸러미, 공공급식, 농촌체험투어, 텃밭사업, 도농교류 활동 등 로컬푸드를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하고 활용하고 있으며, 각 마을에서는 마을공동체를 만들어 농촌의 문제점들을 해결해나가고 있다. 하지만 경제적으로는 부상했지만 사회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본 ‘나가노현 마츠카와무라’, ‘오이타현 아지무’ 지역 ‘그린 투어리즘’ 경험사례와 전라남도 강진 ‘푸소체험’을 벤치마킹하여 ‘얼굴 있는 먹거리’의 장점을 살린 ‘완주로컬푸드CU(Communication Unbound) 홈스테이’ 방안을 제시한다.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는 첫째,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신뢰도 향상, 둘째, 인간성의 회복, 셋째, 새로운 삶의 활력소의 장 마련, 넷째, 지역 경제적 활성화에 도모, 다섯째, ‘사람 중심인 마을’이라는 차별화된 지역만의 특색 있는 브랜드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완주 로컬푸드 정책 동향과 현황
3. 일본 아지무·마츠카와무라 ‘그린 투어리즘’과 강진 ‘푸소체험’사례
4. 완주로컬푸드 CU(Communication Unbound) 홈스테이 방안연구
5.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