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Teacher and Instructor Schem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수정(Park, SooJung) 방효비(Fang, XiaoFei) 박정우(Park, JeongWoo) 고경희(Ko, GyungHu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8호, 1297~13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국문 초록
고교학점제 도입에 있어서 교·강사 관련 제도가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고등학교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강사 제도의 운영 실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9학년도 일반고등학교 전체(정보공시)와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설문조사)의 교·강사 제도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 교사의 평균 수업시수는 창의적체험활동 포함시 평균 16.9시간, 제외시 평균 15.1시간이고, 일반고 교사의 52%가 1개 과목, 38%가 2개 과목을 담당하며, 88%의 교사가 1개 자격을 소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과목 지도에 대한 부담 완화와 지도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순회교사의 활용은 평균 5시간 정도로, 좀 더 적극적인 활용과 제도적 토대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일반고의 정규수업을 담당하는 강사의 비율은 1%로 현재 미미한 수준이나, 향후 다양한 선택과목이 개설될 경우 강사의 확보와 질 관리, 강사료 현실화가 필요하다. 넷째, 다과목을 지도하는 교사와 순회교사에 대한 인센티브로 현재 가장 우세한 성과급 산정 시 가산점 외에, 교직 문화의 인식 전환과 총체적인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선택과목 확대로 인한 교과목과 수업학급수 증가는 수업시수, 학급당 학생수, 담임제도 등에 대한 기존 개념의 변화를 요구한다.
영문 초록
In accordance with the awareness that the system related to teachers and instructors is important in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is purpose, the actual conditions of all the general high schools(Korean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KESS) in 2019 and Research·Initiative schools(Survey)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regular teaching time in high schools includ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s 16.9 hours, except for 15.1 hours. 52% of teachers in high schools teach one subject, 38% of teachers teach two subjects, 88% of teacher have one teacher certification. The teachers who teach multiple subjects should ease the burden and strengthen the guidance. Second, the average teaching time of the itinerant teacher was five hours, require more active use of teacher and need to establish institutional foundation. Third, only 1% of instructors in general high schools regular classes, which is currently low, if various elective subjects are offered in the future, the number and quality of instructors need to increased, and realize lecturer pay. Fourth, the itinerant teacher and the teacher who teach multiple subjects, in addition to the most advantageous bonus of performance-based pay as an incentive to give, also need to discuss the change and support of teaching culture. Fifth, the number of course and classe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elective course that requires a change in the existing concepts of teaching time, class size studies, homeroom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일반고의 교·강사 제도 운영 실태 분석
Ⅳ.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교·강사 제도 운영 실태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