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dictors of Youth Career design Competency: Focused on Korea Youth Competen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미(Lee, Hye-mi) 김유미(Kim, You-M)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8호, 561~57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 역량의 하위역량별 발달 추이를 파악하고, 진로설계역량에 대한 다른 하위역량들의 예측기여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청소년데이터 아카이브에 탑재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에 응답한 학생은 총 10,319명으로, 초등학생 3,627명, 중학생 3,406명 및 고등학생 3,286명이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을 활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계수를 산출한 후, 연령군별(초등, 중등, 고등) 다변량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조절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위역량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연령군별 분석에서, 한국 청소년의 하위역량은 연령증가에 따라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나, 하위역량별로 변화양상의 차이를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하위역량들은 진로설계역량을 59.9% 설명하고, 모든 하위역량이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예측기여도는 과제관리, 여가활용, 관계형성, 학습적응성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 예측기여도는 연령군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evelopmental progress of Korean youth sub-competencies and to explor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youth sub-competencies in predicting career design competency. For this purpose, we extracted data from “A Study on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II (2016)”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Participants in the survey are a total of 10,319: 3,627 elementary school students, 3,406 middle school students, and 3,286 high school students. Before testifying hypotheses, we calculated the reliability of scal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ain variables. Subsequently, we performed correlation analyses among the main variable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by age group(elementary, middle, and high)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version 23.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most variables except emotion regulation competency. Second, youth development in Korea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ge,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change by competency. Third, youth sub-competencies accounted for 59.9% of career design competency, and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and relative contribution was in order of task management, leisure utilization, relationship formation, and learning adaptability. However, the relative predictive contributions of the predictors differed slightly by age group. The present research discusses these findings’ implications with the previous work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