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uma Healing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in Psychodrama Group Counsel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대연(Oh DaeYo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8호, 63~8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극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외상 치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실험에서는 심리극에 참여하여 주인공 경험을 하는 주인공 집단과 참관하는 참관자 집단으로 두 개의 실험군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J시 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28일부터 2019년 5월 30일까지 10주 동안, 주 1회 각 90분씩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실시 후 주인공 실험군 10명과 참관자 실험군 10명으로 구분되었으며, 실험 결과를 실험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심리극 진행 전과 후 ‘외상 후 진단검사’를 실시하여 외상의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집단 간 사전 및 사후 결과 분석을 위해 Ma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극 실시 후 ‘주인공’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외상 증상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극은 주인공으로 참여한 집단의 외상 치유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참관자’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외상 증상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심리극은 참관만 하는 참여자 집단의 외상 치유에는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주인공’ 실험군은 ‘참관자’ 실험군에 비교하여 외상 증상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리극의 외상 치유 효과를 Bessel(2014)이 제시한 외상 3단계 과정에 따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sychodrama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healing trauma of university students. In this experiment, w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the ‘main character’ group who participated in psychological play and experienced the main character and the ‘observer’ group. To this e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90 weeks, from March 28, 2019 to May 30, 2019, for 24 college students in J City. Aft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t was divided into 10 main experimental groups and 10 observer experimental group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Before and after psychological drama, the degree of trauma was measured by diagnostic diagnosis test and Ma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re and post result between group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psychological play, the main character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trauma symptom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rauma symptoms in the observer experimental group. Third, the main character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trauma symptoms than the observer experimental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rauma healing effects of psychodrama we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trauma three-step process presented by Bessel (2014).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