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Cine-literac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희(Park, Sunhee)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6권 제1호, 269~2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화 리터러시 교육이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사례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시작은 H대학에서 실시하는 “영화 상영” 열린 강좌에 앞서 영화를 어떻게 교육과 연결하여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되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영화 리터러시 교육이 공감능력과 관련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대학 재학생 16명을 대상으로 ‘트루먼 쇼’ 영화를 보여주고 감상문을 제출하게 한 후, 네 명씩 한 그룹으로 나누어 느낀 점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은 인지적, 정서적, 심미적 관점에서 다양한 형태로 영화내용을 기술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과 비슷한 동료 그리고 다른 생각을 가진 동료와 소통을 하면서 새로운 시각으로 영화를 재해석할 수 있었다. 영화를 보면서 혼자 깨닫지 못한 부분을 동료의 이야기를 통해 새롭게 깨닫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상력, 추론 능력도 증가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ine-literacy education through a case study.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H s University s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 before starting its Liber Education program, titled Watching movie . Considering literature review, empathy theory is related in cine-literacy education in fact.
H University 16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16 students wrote report and discuss their feelings of movie The Truman Show . The result showed many kinds of cognitive, emotional, and aesthetic aspects from the student s report. Through the discussion, moreover, students came to realize the fact that some of their peers shared the same feelings whreras others did not. This broaden students eye scopes, consequently, allowed them to view the movi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rough this, students came to become more creative and more reaso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