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participant’s affective domain for peer ESL tutors and adult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at intensive English camp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옥희(Park, Ok-Hee)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6권 제2호, 423~4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영어 캠프 참가자들이 또래 ESL 튜터와 성인 원어민 선생과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는데 흥미, 동기, 불안감, 자신감, 태도 등의 정의적 영역과 문화이해, 사회적 거리감 등의 문화적 요인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해외 영어연수의 대체 효과나 사전 준비단계로서의 국내 캠프를 조명한 선행연구에 비해 본 연구는 국내에 유학 온 해외의 유수한 외국학생들의 영어 튜터 활용가능성을 알아본 것에 의의가 있다. 대전시 소재 대학의 2011년 겨울방학 영어 캠프 참가자 중 최종 수료자 29명을 대상으로 정의적 영역과 문화적 요인에 관한 사전·사후 설문과 사후 구조화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가자들은 ESL화자와 영어로 의사소통 할 때에 원어민과 할 때보다 흥미도와 자신감이 높아졌고, 불안감은 줄어들었으며, 사회적 거리감은 더 느낀다는 유의한 통계 결과가 나왔다. 또 또래 튜터와 영어로 의사소통 할 때 성인 교사와 할 때 보다 흥미도와 자신감이 높아졌다는 유의한 통계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튜터를 방학 중 캠프기간 뿐만 아니라 학기 중에도 적극 활용하는 방안과 튜터들에 대한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articipants’ affective domain such as interest, anxiety, motivation, attitude, self-confidence, and cultural factors such as cultural understanding and social distance for peer ESL tutors and adults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2011 Winter English camp of a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city, and 29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were two kinds. One was pre and post self-evaluation consisted of 21 questions, and the other was post structured questions with 6 questions for detailed information for the statistical results.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camp participants have more interests and self-confidence, less anxiety, feel more social distance when they communicate in English with ESL speakers than they do with native speakers. Also they have mor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when they communicate in English with peer tutors than they do with adults teachers.
This result implicates more possibilities for tutoring with peer ESL tutors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limited opportunity in communicating in English, and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y authorities provide tutoring during camp as well as semester, and prepare tutors training program for more effective and successful tutoring program with peer ESL tutor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