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ality Analysis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Art Education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Concentrated in area of Cheongju City, Chungbuk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원영미(Won, Yeong Mi)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4券 1號, 108~134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국문 초록
최근 학교에서는 학생이 주체가 되는 교육 방법의 다양한 시도와 더불어 배움의 공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술수업도 오늘의 시대 문화적 상황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역량을 키우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미술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관심은 적은 편이다. 특히 초등학교 미술교육환경은 지극히 전통적인 모양새를 하고 있다. 질 좋은 미술수업을 위해서 환경을 갖추는 일은 새로운 배움이 효과적으로 일어나 창의성과 다양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미술교육환경을 중심으로 실태를 조사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였다. 좋은 미술수업을 위해서는 우선 미술교육환경과 관련된 내용이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하며, 학생 중심의 미래형 미술교육공간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미술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역량을 갖춘 전담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 현대 사회가 복잡하고 다변화되어 가는 만큼 미술교육환경 또한 일반적이고 구태의연한 모습이 아니어야 할 것이다. 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무한한 상상력을 갖게 되길 기대한다면 미술교육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체계를 갖추고 계속적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A school is getting higher interest in the space of learning these days along with diverse attempts for an educational method in which a student becomes the main agent. Even the art class is striving to develop students capacity in consideration of today s periodic and cultural situation. Nevertheless, there is tendency of having little interest in environment of being performed the art class. Especially, the art education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is taking an extremely traditional form. Having environment for good art class may be made by creativity and diversity because new learning happens effectively, thereby being able to be considered to have very great influence upon learning. Accordingly, this study surveyed the reality and explored its significance focusing on art education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For good art classroom, the contents related to art education environment first needs to be reflected in curriculum. And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the student-based future art education space. Also, an exclusive teacher should be deployed who has professional knowledge and competence in art education. Modern society is getting complicated and diversified. Thus, even the art education environment will need not to have the common and outdated image. Given expecting for art education to make students come to have unlimited imagination, a durational change needs to be made with having the continuous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for art education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충청북도 청주시 미술교육환경 실태분석
Ⅲ. 좋은 수업을 위한 미술교육환경 개선방안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