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cess and Methods of Korean Peer Tutoring in Academic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효(Kim, Sun Hyo)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7권 제5호, 197~22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및 재외국민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학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 동료튜터링의 과정을 제시하고 이에 적합한 튜터링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동료튜터링은 선행 학습을 한 튜터가 학습자의 부족한 영역을 도와주는 학습 보조 활동으로서, 튜터링의 방법에는 튜터의 직접적 개입을 허용하는 지시적 튜터링과 그렇지 않는 비지시적 튜터링 그리고 두 튜터링 유형을 결합한 중립적 튜터링이 있다. 이 세 유형 중에서 외국인 및 재외국민 학습자에게는 오류의 유형과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에 따라 중립적 튜터링을 실시하는 것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동료튜터링의 과정 중에 튜터와 학습자 간의 관계성, 학습자의 학습 의욕 저하 등의 한계가 드러날 수 있으나 튜터가 동료성을 중시하면서 학습자를 도와주면 성공적인 튜터링을 실시할 수 있었다. 튜터와 학습자가 서로 주축이 되고 교수자가 보조적으로 도와주는 상호 협력적 관계가 한국어 동료튜터링을 이끄는 동력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t presented the process of peer tutoring for Korean academic writing classes and explored the proper methods for Korean learners who are foreigners and Korean oversees. Peer tutoring is interactive program that tutors who were learned previously or have more knowledge support and help tutees who have less knowledge, but tutors and tutees are not hierarchical relation but interactive and cooperative. Peer tutoring has three methods; directive tutoring, nondirective tutoring and neutral tutoring. Among those methods, neutral tutoring is much proper to Korean learners. In Korean peer tutoring program some problems came out, but it can be overcome if tutors regards peerness as important and tutors, tutees and instructors have cooperative relationship each other.
목차
Ⅰ. 서론
Ⅱ. 지시적 튜터링과 비지시적 튜터링
Ⅲ. 대학 글쓰기에서의 한국어 동료튜터링의 과정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