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이용수 135

영문명
A Didactical Reflection on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손승남(Son, Seung-Nam)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8권 제2호, 11~4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교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논의는 무성하지만 대학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입시교육의 폐해와 가속화된 사회변화를 감안해 볼 때 대학에서의 인성교육은 아직 ‘미숙한’ 대학생의 더 나은 ‘성숙’을 위해서라도 절실하다. 이제라도 대학 인성교육의 방향과 기틀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고는 교수학(Didaktik)의 원리와 방법에 따라 대학 인성교육의 방향과 틀을 정립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수학의 원리에 따라 인성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의 순서로 나아갈방향을 논한 후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 인성교육의 목적으로는 자기규정능력, 공동참여 및 책임능력, 연대능력을 들고, 가속적으로 변하는 사회와 글로벌 시대에 인성교육의 방향도 결국 나와 타인, 사회와 국가, 나아가 인류의 차원으로까지 확대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대학 인성교육의 내용에서는 건강한 ‘몸’의 보존과 육성 그리고 성교육을 포괄하는 ‘몸’ 교육, 건전한 정서와 도덕성 함양을 지향하는 ‘마음’ 교육, 지성과 창조력의 육성을 의미하는 ‘지혜’ 교육, 한 차원 더 나아가 기초질서교육 및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배양을 포괄하는 민주시민교육, 국제이해교육과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을 통합적으로 상정하여 논의하였다. 대학 인성교육의 방법으로는 우선 자기 몸과 영혼을 돌보고, 자기 내면의 힘을 강화하는 주체역량 강화 방법과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글로벌(global) 사회에서 주인으로 당당히 설 수 있는 시민 역량을 길러주는 방법에 관해서 논의하였다. 대학 인성교육의 평가에서는 결과 및 산출 위주에서 과정 자체의 평가로, 학점 선정이나 경쟁의 방식에서 상호 협동정신과 팀워크를 중시하는 방향을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Based on didactics the article discusses the aim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of character education and suggests some practical strategies. After providing a brief review of the aims of character education including self-regulation, responsibility,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author described five dimensions of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These include individually physical education, mind education and wisdom education as well as civil education from a local and global perspective.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engage with character education by meeting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needs in order to enhance their global citizenship. Finally, after a discussion about the evalu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is vision of education can be practiced in a integrated framework for general education, professional education and non-curricular activities in the realm of university education.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검토
III.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승남(Son, Seung-Nam). (2014).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교양교육연구, 8 (2), 11-41

MLA

손승남(Son, Seung-Nam).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교양교육연구, 8.2(2014): 11-4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