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ading Improvement Model of
in the clas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허남영(Heo, Nam Young) 정인모(Jeong, In Mo)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8권 제6호, 529~55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국문 초록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고전읽기와 토론>류의 과목은 사고력과 표현력의 향상을 의도하는 다른 교양과목들과 그 내용 및 성격에서 유사한 면이 있다는 평가를 받아 오면서, 다소 강좌의 정체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그리고 고전읽기를 개설하면서 제안되었던 수업모형은 각 단계별 활동이 고전에 수렴되기에 각각 독립적 성격을 가졌다는 한계를 드러내면서 수업에서 읽기모형의 개조가 제기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부산대학교에서 교양과목으로 개설하고 있는 <고전읽기와 토론>강좌 운영을 위한 발전적 대안으로 읽기모형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학생과 교수자를 중심으로 ‘수강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읽기모형 개선에 적용했다. 고전을 다룬다는 것은 융합적 사고를 기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전문적 직업 지식인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에 두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새롭게 제안되는 고전읽기 모형은 사고력 배양과 융합적 인재상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개조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도 어떤 문제에 대해 더 깊게 사고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통섭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두어 고전읽기의 모형을 개조하고자 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고전읽기 수업 개선을 위한 전제
Ⅲ. <고전읽기와 토론>강좌에서의 읽기모형 개선 방안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