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merits and demerits of adversariality in argumentation and debate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홍경남(Hong, Kyung Na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0권 제4호, 237~25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국문 초록
논증 일반에 대해서 유해할 수 있는 은유가 편재해 있다. ‘논증은 전쟁’이라는 은유가 그것이다. 전쟁이 그렇듯이 논증은 적의를 가진 이들이 싸움을 벌이는 것으로서 수많은 유해한 태도들을 동반한다. 특히 토론에서 승리를 쟁취하기 위해 벌이는 싸움은 실제 전쟁에 비견되는 적의를 드러낸다. 본 논문에서는 바로 논증 과정에 대해서 지적되는 이런 적대성의 측면이 유해한 것임을 인정하고 그런 성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그렇지만 또한 이와 더불어 그런 적대성은 다만 유해하기만 한 것은 아님을 드러낸다. 논증을 적대적인 논쟁으로 바라보는 시각부터 논증을 협의로 바라보는 시각에 이르기까지 여러 관점의 공과를 시험하여 이렇게 결론짓는다. 논증 과정에 자리한 적대성은 그 과정을 생생한 것으로 만드는 데 필요한 정도로 최소화될 수 있고, 그런 최소 적대성은 유해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득을 줄 수 있다.
영문 초록
A metaphor harmful to argumentation, “argument is war,” is widely distributed, and used. As is like with the war, the argumentation addressing various kinds of arguments is accompanied with many harmful attitudes because it is assumed to be quarrels among adversarial opponents. Particularly, quarrels for winning the debate reveal adversariality comparable to that of real battles or wars. An attempt is made in this paper to recognize the harmful effect of the adversarial attitude with the argumentative discourse, and find a way of mitigating it. However, it is also noted that such an adversarial property does not inevitably lead to the bad or the harmful. It follows from testing the merits and the demerits of arguments taken as wars to arguments as cooperative agreements that the argumentative adversariality can be so minimized as to make the argumentation vivid and alive. That is, it does not just suffer losses, but gives benefits.
목차
1. 서론
2. 논증 과정과 전쟁
3. 논증 과정에서 적대성의 공과
4. 대안적 은유의 가능성
5. 결론 - 다양한 은유의 공존 가능성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