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RC Education in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철(Kim, Young-Chul) 최경춘(Choi, Kyeng-Chun) 김인규(Kim, In-Kyu) 조아라(Cho, A-Ra)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3호, 303~32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국내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RC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각 대학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RC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스스로 마련토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RC 운영 대학 6개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대적 교육의 패러다임으로서의 RC(기숙형 대학)의 유형을 살폈다. 둘째, RC 운영에 대한 대학 지원의 중요성을 살폈다. 셋째, RC 교육의 추진 목표 및 운영상 특징을 살폈다.
이 연구의 결과, RC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중요했다. 첫째,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한 RC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피드백이 필요했다. 둘째, RC 성과 및 결과물 공유를 통한 대학 간의 교류가 중요했다. 셋째, RC 실무 담당자들의 업무 이해도가 중요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sults of current RC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for each university to prepare its own way to operate RC Education effectively as a new paradigm. To do this, we conducted research on six RC Universities in Korea.
The conten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type of RC as a paradigm of modern education. Second, we looked at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support for RC operations. Third, we looked at the objectives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RC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ints were important to build RC Education system. First, we needed positive feedback on RC education through satisfaction survey. Second, exchanges between universities through RC outcomes and product sharing were important. Third, understanding the work of the RC practitioners was important.
목차
1. 들어가는 글
2. 현대적 교육의 패러다임으로서의 RC(기숙형 대학)
3. RC 운영에 대한 대학 지원의 중요성
4. RC 교육의 추진 목표 및 운영상 특징
5.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