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writing education issue in transhumanism era - on the basis of reflection of transhumanism era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경(Cho, hye kyu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6호, 137~1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 시대의 쟁점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인간 기능의 향상이라는 인간의 욕구가 글쓰기 교육 분야에 나타난다면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될 것인지 예측하기 위해 로봇 저널리즘의 예를 제시하였다.
향후 로봇 저널리즘이 지금보다 발달할 경우 학생들은 복잡하고 까다로운 글쓰기 과정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보다 짧은 시간에 만족스런 결과물을 원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글쓰기 교육은 협력 기반의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과 창의적인 글쓰기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글쓰기의 전 과정에서 개인적인 글쓰기가 아닌 팀 기반 글쓰기를 강조하고 각 단계별로 중간 결과물들을 평가에 반영하는 방향으로 글쓰기 수업이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트랜스휴머니즘 시대의 글쓰기는 데이터 기반의 정보 제공 차원의 글쓰기로 흐를 수 있어서 현상이나 사건에 대한 고유한 관점과 창의적인 시각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in the transhumanism era and suggests an example of robot journalism in order to predict what direction human desires for improvement of human function will be in the field of writing education.
In the future, if robot journalism develops than now, human writing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cooperative-based,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and creative writing. To do this, writing class should be designed to emphasize team-based writing rather than individual writing throughout the whole writing process and to reflect the intermediate results at each stage in evaluation. This is because a writing education in transhumanism era is a data-based informational writing lacking a unique and creative perspective on phenomena or events.
목차
1. 머리말
2. 트랜스휴머니즘 시대의 트랜스휴머니즘 성찰
3. 트랜스휴머니즘 시대의 글쓰기 교육의 쟁점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