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pplication of Piecewise and Polynomial non-linear latent growth models for the modeling of trajectories of career maturi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박산하(PARK SANHA) 김성은(KIM SUNG EUN)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3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선형 잠재성장모형과 다항함수, 지수함수, 분할함수, 다항-분할함수 등 비선형 잠재성장모형과 다양한 분할점을 고려하여 청소년기 진로성숙의 양상을 가장 잘 반영하는 성장선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초등패널(초4)의 2012년(3차년도, 초6)~2018년(9차년도, 고3) 자료를 활용하여 7년에 걸친 변화 양상을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모형은 분할점이 고등학교 1학년인 분할이차-일차함수 모형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성장선은 초등학교 6학년 이후 중학교 3학년까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모양을 보였다. 증가하는 경향은 고등학교 1학년까지 나타나다가 이후 고등학교 3학년까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의 확장을 위한 기초단계의 연구로서, 장기간의 종단연구에서 정확한 성장선 추정을 위한 비선형 잠재성장모형의 적용을 보여주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분할점을 찾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분할하는 시점에 대한 유연한 사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 various types of Latent Growth Models (Polynomial, Exponential, Piecewise, Polynomial-Piecewise function) to find the best fit trajectories of career maturity in adolescence. We analyze the changing patterns of career maturity over 7 years(from grades six to twelve) using the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s a result, the model that best describes th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is the quadratic-linear piecewise model in which the knot point is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non-linear LGM needs to provide more accurate growth trajectories estimation in long term longitudinal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lexible thinking is necessary for choosing the knot point since there are many ways to find the optimal knot point in piecewise LG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