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Collaboration Ability According to Collaboration Experience and Collaboration Recognition among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주(Kim, SeonJu)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3권 제3호, 53~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협업 경험, 인식에 따른 협업 능력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협업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수도권 3개 대학 재학생 539명의 자료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협업 수준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협업 경험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협업 보상 유형은 구성원의 노력 여하에 따른 차등 보상을 원하고 있었으므로 합리적인 보상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협업 경험이 많고 리더로 활동한 경험과 긍정적 성과 경험이 있을 경우 협업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협업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긍정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팀 구성에 대한 고려, 즉 팀 구성 방식, 역할과 업무에 대한 균등한 배분 등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개발, 리더십 향상 등의 교육도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협업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중립 및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사람보다 협업 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협업의 주제와 상황을 고려하여 팀 구성 방식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협업 능력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협업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효과적인 협업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collaboration ability according to college student s experience of collaboration and perception, so as to help strengthen the collabor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539 students from three metropolitan areas in Seou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llabor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s insufficient, so the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experience should be expanded. The cooperative compensation type requires differential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effort of the members,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asonable compensation system.
Second, the ability to collaborate is high when there are many collaborative experience, experience as leader, and positive exper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eam composition to maximize the effect of collaboration and to have a positive experience. In addition, education such as 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development and leadership improvement should be done in parallel.
Third, it was found that those who had a positive opinion on the necessity of collaboration had higher ability to collaborate than those who had a neutral and negative viewpoint. Therefore, the instructor needs to consider the effective way to form a team by considering the subject and situation of collabora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training of college students ability to collaborate, and it will be helpful for effective cooperative education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collaboration abil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