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ing customized extra-curriculum to cultivate key competences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정윤숙(Chung, yoonsook) 윤희정(Yun, Hui Jeong) 공성수(Kong Soungsu)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3권 제5호, 293~32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K-CESA 진단을 활용, 대학생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 교과 및 비교과 교육 과정의 체계적인 로드맵을 설계할 수 있는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핵심역량 진단을 바탕으로 대상 학생들을 특성별로 세분화함으로써, 각 유형의 학생들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맞춤형 비교과 교육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자 했다. 다양한 핵심역량에서 균형 잡힌 인재를 기르기 위하여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은 개별 학생들이 현재 상태에서 강화가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확인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 분석을 실시하고, 군집별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분석해, 총 3유형의 유의미한 군집이 존재함을 발견했다. 이들은 집단별 특성에 따라 ‘문제인식형’, ‘은둔형’, ‘활성화형’으로 명명되었으며,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되는 두 집단에 대하여 ‘발견’, ‘개선’, ‘환류’를 위한 단계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유형별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학생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도록 교과와 비교과 영역에서 개설되어 있는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안하며, 교과와 비교과를 연계하는 심화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핵심역량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king guideline of extra-curriculum for cultivating key competences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group-analysis to find out property groups of K-CESA. As a result of group-analysis, we divided the students into three focus groups. We named each group as ‘recognized’, ‘seclusive’, ‘activated’ after deliberate considering of students’ experience on extra-curricular. In conclusion, we suggest customized extra-curricular for ‘recognized’ and ‘seclusive’ group that are organized into discovery’, ‘improvement’ and ‘feedback’. We expect that educators could make a plan of normal- and extra-curricular to encourage key competences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학생 유형별 교육과정 설계
6.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