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dvocacy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based on argument analysis and evalu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홍지호(Jiho Ho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3권 제5호, 171~18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국문 초록
이 글을 통해 나는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한 월터스(Walters)의 우려와 더불어 현재 국내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판적 사고 교육에 관해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그의 우려는 비판적 사고 교육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나는 월터스의 우려는 잘못된 것이지만 현재 국내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해서는 그의 우려가 유의미하다고 주장한다. 사실상 그는 논증 분석과 평가 중심의 비판적 사고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역량을 기를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나는 비판적 사고 교육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상당수의 국내 대학의 비판적 사고 교육은 논증 분석과 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데, 그러한 비판적 사고 교육은 창의적 사고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나는 논증 분석과 평가 중심의 비판적 사고 교육이 창의적 사고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측면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비판적 사고 교육은 논증 분석과 평가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critically discuss Walters concerns about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s well as the critical thinking education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Korean universities. His concern stems from the idea that critical thinking education does not help students develop their creative thinking competence. I argue that Walters concern is wrong, but at least his concern is significant in the critical thinking education currently being conducted at domestic universities. As a matter of fact, he overlooks the fact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ir creative thinking competence through critical thinking education centered on argument analysis and evaluation. I think critical thinking education should not only help students develop their creative thinking competence, but it also actually helps them. However, the critical thinking education of many domestic universities, which is not based on argument analysis and evaluation, does not help to develop creative thinking competence. Accordingly, I explain what aspects of the critical thinking education centered on argument analysis and evaluation are conducive to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competence, and I argue that critical thinking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argument analysis and evaluation.
목차
1. 논증 분석과 평가 중심의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한 우려들
2.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3. 국내 대학의 비판적 사고 교육 현실
4. 창의적-비판적 사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