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se Study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the Science History in Liberal Arts by applying the Big Histor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지(Yunji Ki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3권 제5호, 81~9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에서 과학사를 가르칠 수 있는 융합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사범대학의 선택교양으로 개설된 과학사 강의를 수강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빅 히스토리의 문헌을 분석하여 빅 히스토리와 천문학의 접점에서 융합 콘텐츠를 추출하고, 학습 자료로 공유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대학 교양 강의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요목을 구성하였다. 15주 수업으로 융합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우주와 지구의 역사’ 강의를 개설하여 현장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로 예비교사들의 전-후 마인드맵을 검사하여 우주와 지구라는 콘셉트에 대한 개념과 인식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빅 히스토리와 천문학을 연계하여 융합 교육을 수행한 사례로서 교육적 의미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apply a convergence curriculum that can teach science history in liberal arts. The subjects were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science history classes, which was open an elective liberal arts clas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 syllabus for the university that can be used in the liberal arts classes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literature of big history, extracting the convergence contents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big history and astronomy, and analyzing the videos shared as learning materials. The 15-week class was designed for the convergence curriculum and the History of the Universe and the Earth lecture was opened for field study. As a result, the pre- and post-mind map of pre-service teachers were examined to confirm the conception and the perception about the concept of space and earth. This study provides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as a case of convergence education by integrating big history and astronomy
목차
1. 서론
2. 연구 대상과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