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nstruction module of clothing life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for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진솔(Lee Jinsol) 주수언(Ju su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1325~13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위해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의생활영역을 중점으로 하여 학습자 중심을 기반으로 한 수업 모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합리적 가치결과를 얻기 위해 계획, 분석, 설계 및 개발, 평가, 개선의 단계로 수행하였다. 먼저, 계획 단계에서는 학습자 중심을 기반으로 한 수업 모듈 연구를 위해 중학교 가정 교과의 의생활 관련 단원 분석과 수업 모듈 개발이라는 연구 내용 및 범위를 선정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의생활교육의 역사적 배경을 포함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 및 활동과제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생활 단원의 ‘옷차림과 의복 마련’내용요소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을 기반으로 한 수업 모형을 적용한 총 10차시의 수업 모듈을 개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설정한 평가항목을 활용하여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자 중심의 의생활 수업 모듈 개발을 통하여 학생들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높여 올바른 의생활을 영위하며, 의생활 교육을 위해 다양한 학습자 중심의 모형과 활동을 적용한 수업모듈이 현장 교사들과 교육과정 개발자에게 유익한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중심의 의생활 수업 모듈의 설계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earner-centered instruction module, focusing on the clothing life domain of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reasonable value result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stages of planning,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evaluation, and improvement. First, at the plan stage, the contents and scope of the study including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content system of the clothing life unit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t. Second, in the analysis stag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lothing life education and theories on learner-centered education were examined and a total of 210 activity task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ird,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based on the analysis contents, a total of 10-session instruction module was developed to apply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model for the dressing and clothing content elements of the clothing life unit. Fourth, in the evaluation stage, the validity evaluation using the set evaluation items was carried out. The study attempted to raise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so that they can have a proper clothing life. Also, it is hoped that the instruction module, which employed various learner-centered models and activities for the clothing life education, would be used as a useful material for in-service teachers and curriculum developers, and further, the design of learner-centered clothing life instruction modules would be expanded in the field of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