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Career Identity and Self 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영(Kim Mi Young) 정지수(Jung ji soo) 양창의(Yang Changeu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1267~128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 2, 3, 4학년 217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 후 자료수집에 대한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4월 30일부터 5월 12일까지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성별, 간호학과 선택동기, 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진로정체감은 학년, 간호학과 선택동기, 임상실습경험여부, 전공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효능감은 학년, 임상실습경험여부, 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생활적응은 거주형태, 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대학생활적응은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업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활적응의 영향요인은 학업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학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을 32.2%를 설명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successful adjustment to college life, by understanding effects of academic stress, career identity and self efficacy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researcher collected from the subjects, 217 in a university located in P, who agree to the collection of data, by explaining them about the objective and procedure of this study.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this study was from April 30 to May 12, 2018.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22.0. The findings show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choice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for the academic stres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de,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and major satisfaction, for the self efficac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de, choice motivation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and major satisfaction, for the career identit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dential forms and major satisfaction, for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among the subjects variables exhibited that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 efficacy and career identity; academic str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m, indicating that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is enhances, as the academic stress is lower while self efficacy is higher. Both the academic stress and the self efficacy accounted for 32.2% of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