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Middle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with cases of A university in korea and B university in chin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쥔페이(Zhang Jun Fei) 황선필(Hwang Seon Pil) 김병찬(Kim Byeong Ch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803~83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중등교사 양성제도가 실제 양성기관에서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A대학교와 B대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방법을 택하여 한국과 중국의 중등교사 양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은 공교육과 사교육을 병행하는 방식이지만 중국은 행정 수준에 따라 교원양성제의 질이 너무 달라 통일이 필요하며, 학생 선발 과정에서도 중국은 입시 위주의 방식과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학생 선발방식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도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전문적인 교육과정을 개설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은 중국과 비교했을 때 필요한 실습 시간이 적고 준비 기간도 짧기 때문에 실습제도의 개선도 필요하다.
                    영문 초록
Teacher training system should be changed to enhanc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accordance with flow of social and the time. However, compared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ere have been no any significant changes in teacher training system. Thereby, this study conducts a comparison of secondary teacher training system in Korea and China. It has been judged that the comparison between them has a significance as both countries have school-age population on the decrease, differences of nation s operating system in similar cultures and compulsory education implement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dicate how policies have being applied to universities by specifying the specific universities running secondary teacher education system in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s follows. First, Korea has the same way in the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system but, China has so different qualities of teacher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dministrative levels that it is necessary to unify them. Even in the process of student selection, China needs a variety of ways to select students, not college entrance exam-oriented way and changes in curriculum to enhanc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Korea also needs improvement of the teaching practice as the number of teaching practice needed is low and the preparation period is also short, compared with China. Therefore, it has been showed when we introduce and take advantage of positive ways in the two countries, it could help to enhanc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한국 A대학교와 중국 B대학교의 중등교사 양성제도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