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Job Capabilities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Art Therapists: Focused on Expert Interview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시정(Kim si jeong) 정경희(Jung kyung hee) 박윤미(Park yun 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703~73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핵심역량과 이에 기반한 양성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미술치료의 수행 경험과 양성 과정 모두에서 충분한 전문성을 가진 6인의 미술치료 학계 및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해당 자료에 대한 개방코딩을 통해 귀납적 주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사 직무 수행에서의 핵심역량은 ‘미술치료 대상자 사정 및 미술치료의 개입을 위한 이론적 체계, 현장적용을 염두에 둔 실천적 지식, 계획 및 적용, 평가에 이르는 미술치료 적용기술, 전문가적 소통 기술, 전문가적 정체성과 유연성, 책임감 및 윤리의식, 올바른 자아개념 형성, 자기이해 및 자기관리’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미술치료사의 역량에 기반한 양성 교육의 방향은 지식, 기술, 태도의 역량과 제도 및 환경의 측면에서 4개의 단위, 4개의 범주, 14개의 개념이 도출된바, 이를 범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이론과 실제의 상호교섭성과 학습 맥락 제공, 임상 지향의 임상 능력과 수련 강화, 전문가로서의 정체성과 태도 형성, 미술치료사 양성과정의 고도화’가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re competencies of the performance of art therapists and the direction of training based on these competenc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art therapy scholars and experts in the field with sufficient expertise in both the practice and training process of art therapy, and inductive them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open coding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ategories include the theoretical system for assessment of art therapy clients and the intervention of art therapy; practical knowledge applicable to the field; art therapy skills including planning, application, and evaluation;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professional identity and flexibility; responsibility and ethics; development of the right self-concept; and self-understanding and self-management. And The direction of training based on the competencies was identified as 14 concepts under four categories in four units. The categories include interactional negoti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provision of a learning context; clinical training and counseling skills training focused on the clinical field; the forma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and attitude; and sophistication of the art therapist training proc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