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ath and Well-dying Awareness,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of Undergraduat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주연(Yu Ju Youn) 김연미(Kim Yeun Mi) 이명선(Lee Myeong S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581~59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비보건계열 일반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 웰다잉의 차이를 확인하고 간호대학생의 임종 돌봄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G도 소재 1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174명과 2개 대학 비보건계열학과 학생 176명이며, 죽음에 대한 인식 36문항, 웰다잉 17문항, 임종 돌봄 태도 25문항으로 이루어진 구조화된 설문지로 2019년 5월 20일부터 9월 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은 일반 대학생보다 죽음에 대한 인식 중 죽음 긍정과 죽음 관심이 높았고, 웰다잉 인식이 높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죽음에 대한 인식 중 죽음 불안과 죽음 부정이 간호대학생의 임종 돌봄 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10.7%였다. 일반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간호대학생이 임종 돌봄 태도 향상을 위해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감소시키는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death and well-dying awarenes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students who major non-public health in university, and identify the factors affect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of nursing student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 to September 5, 2019 among 174 nursing students and 176 students majoring in non-public health. The questionnaire were consist of 35 items for death awareness, 17 items for well-dying awareness, and 25 items for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Nursing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Affirmation and Concern of death (Death awareness) and well-dying.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was explained 10.7% of the variance in Denial of death (β=-.303, p=.011) and Anxiety about death (β =-.496, p=.001). The results suggest that death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based on the different strategies depending students’ major. Education to improve the positive perception to death is necessary for students majoring non-public health, and education to decrease the negative perception to death is for nursing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