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quiry for the application of deconstructive methodologies in curriculum stud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주재홍(Joo Jae H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551~57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해체적 방법에 대한 서구의 이론적/학술적 탐구 방법을 검토하여 교육과정연구의 방법적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푸코, 데리다, 들뢰즈의 해체를 각각 경계의 해체, 텍스트의 해체, 생성의 탈주라는 개념으로 정리하였다. 둘째, 해체적 탐구의 방법적 개념들을 세 가지로 구체화하여 교육과정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1) 교육담론 실천에 대한 고고학적/계보학적 분석, 2) 교육과정 텍스트에 대한 차연(差延, différance)적 분석, 3) 교육과정의 탈영토화를 위한 리좀적 방법. 셋째, 해체적 탐구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연구에 주는 가능성과 시사점을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1) 탐구의 방법에 대한 깊은 성찰과 대안적 가능성, 2) 연구 영역의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3) 연구 패러다임의 전환, 4) 배제되거나 억압되는 ‘타자성’에 주목.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search for the possible ideas of methodological application of deconstructive paradigm inquiry for curriculum studies. As the major research contents, Theories of deconstruction by Foucault, Derrida, and Deleuze were respectively analyzed and the methodological ideas were drawn for in order to study various issues and practices related to school curriculum and schooling. As results, the following three methods were identified; (2) archeological and genealogical analysis; (2) different approach; (3) deterritorization and rhizomatic approach; As suggestions, the following ideas were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 in Korean curriculum studies: (1) Appreciation for alternative curriculum research methodologies; (2) deterritorization of research themes; (3) transition of curriculum research paradigm; (4) acknowledgement of marginalized realities and otherness in curriculum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해체의 개념적 특징
Ⅲ. 해체적 탐구의 방법적 개념
Ⅳ. 교육과정연구에서 해체적 탐구의 적용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