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Application Strategies and Their Effects of ‘Design Thinking Tools’ in the Lear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저자명
- 홍정순(Hong, Jeong Soon) 장환영(Jang, Hwan Young)
- 간행물 정보
- 『창의력교육연구』제20권 제1호, 75~1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업개선과 변화를 위해 디자인씽킹 기반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여 A초등학교 3학년 c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1차와 2차에 걸쳐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디자인씽킹 방법(tools)이 어떤 전략으로 적용되며 그 효과는 무엇인가에 관해 탐색해보는 실행연구이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1차에 9종, 2차에 11종의 디자인씽킹 방법이 적용되었으며, 이 중 실험 양식과 공감지도를 제외한 역할극, 포스트잇으로 공감하기, 토킹스틱, 5Whys, 이해관계자지도, HMW, 프로토타입 제작 워크숍, 브레인스토밍, 페르소나, 스토리보드 방법의 적용을 통해 공감 경험, 인식의 폭 확장, 주의 집중도 향상, 문제에 대한 다각적 시각, 아이디어 발상활동 촉진, 피드백에 대한 긍정적 경험, 협력적 아이디어 발상 경험의 장점 인식, 사용자에 대한 집중 및 사용자 친화적인 아이디어 생성, 프로토타입 개선 폭의 확대라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향후 더 많은 디자인씽킹의 방법들이 적용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교육현장에서의 디자인씽킹 실천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is an action research about developing the learning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applying design thinking tools to the 3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strategies or tactics can be applied when utilizing the tools of design thinking in the learning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effects of those strategies have on students’ learning? 9 types of design thinking tools were utilized for the first learning program and 11 types were used for the second. 11 types of design thinking tools(role play, empathizing with post-it, talking stick, 5Whys, stakeholder s map, HMW, prototyping workshop, brainstorming, persona, and storyboard) worked well except for the experimental grid and empathy map. The effects of those tools produced positive results on student learning such as creating empathetic experiences, broadening awareness, improving attention, diversifying perspectives on problems, fostering ideas, encouraging positive feedback, developing collaborative ideas, and expanding the scope of prototype improvements. The more research is done about utilization of design thinking tools in elementary school, the better opportunities the teachers would have in applying design thinking to various learning programs for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