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terpersonal problem and teacher burnout among Teachers who Experience Violence Victimiz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의찬(Hwang Eui Chan) 김지혜(Kim Ji hye) 유지연(You Jee Youn) 송남옥(Song Nam Ok) 신효정(Shin Hyo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5호, 1343~136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대인관계 문제가 자기 자비를 매개로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ㆍ경기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 교사 333명(남자 78명, 여자 255명)을 대상으로, 폭력 피해 경험, 대인관계 문제, 자기 자비, 교사 소진 척도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자료, 237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초등 교사가 인식한 폭력 피해 경험 실태의 빈도 분석에서 학생에 의한 폭력 피해경험이 학부모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폭력 피해 경험 유, 무에 따른 소진의 하위 유형별 평균 차이 검증에서 정서적 탈진, 성취감 상실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비인간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폭력 피해 유경험자들의 대인관계 문제와 교사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는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교사의 대인관계 문제는 교사 소진에 영향을 주는데 이 때 자기 자비에 초점을 둔 개입이 교사 소진을 낮추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기여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교사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 and burnout among teachers who experience violence victimization. A total of 333 elementary school teachers (78 males and 255 female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Each participant filled out a interpersonal problems, self-compassion scale, Maslach Burnout Inventoty- educator survey. 237 teachers who experience violence victimization of total 333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analysis of teachers who experience violence victimization was presented. Second, emotional exhaus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of teacher burnou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ing teachers who experience violence victimization to teachers who inexperience violence victimization. Third, self-compassion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 and burnou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ersonal intervention of self-compassion can be effective in decreasing teacher burnout. Finally, implications of teacher burnou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programs to prevent teacher burnout a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