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related to Nursing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Challeng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예슬(Jeong, Yeseul) 방경숙(Bang, Kyung-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5호, 1029~104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의 수준과 영향을 주는 요소를 탐색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2019년 8월 8일부터 8월 1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TATA/MP 16.0 (StataCorp LCC, College Station, TX)과 SPSS 21.0 (IBM, Armonk, NY)을 활용하여 서술적 기술 통계, t-검정, ANOVA, Pearson’s 상관계수, 단계적 다중회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는 3.46±1.14점이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t=-2.26, p=.025). 다양성 수용도는 자아존중감(r=.40, p<.001), 자기효능감(r=.40,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에 대한 유의한 영향 요인은 자아존중감(β=.24, p=.017), 자기효능감(β=.23, p=.023), 그리고 성별(β=.19, p=.010)로 나타났다. 다양성 수용도는 다문화 효능감, 다문화 경험, 공감과 같은 변수보다 개인 내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간호교육의 주 연구분야로 관심을 받아온 다문화 관련 변수와는 다른 점으로,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수용도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predictive correlational study to identify the correlated factors to nursing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challenge in Korea. A total of 158 participants were recruited via an onlin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TATA/MP 16.0 (StataCorp LCC, College Station, TX) and SPSS 21.0 (IBM, Armonk, NY). The mean score of openness to diversity/challenge was 3.46±1.14 for nursing students. The openness to diversity/challeng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r=.40, p<.001) and self-efficacy (r=.40, p<.001). Factors influencing the openness to diversity/challenge were self-esteem (β=.24, p=.017), self-efficacy (β=.23, p=.023) and male (β=.19, p=.010). Unlike multicultural variables received attention in the field of nursing education, the openness to diversity/challenge were influenced by personal internal factors rather than cultural competency, experience and empathy.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challenge are need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