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Infringement Experience and Needs for Response to Child care Teach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Child care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보현(Kim, Bo-Hyun) 박미경(Park, Mi-Kyung) 최양미(Cho, Yang-Mi) 이홍재(Lee, Hong-Ja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5호, 653~67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0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교권 침해 경험 및 대응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43명이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보육교사 발달단계에 따라 교권 영역별 교권 침해 경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숙기 교사는 다른 발달단계 교사에 비해 교육권 및 재산권 침해 경험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강화기, 갱신기 교사는 신분권 침해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교권 침해 대응 요구도 분석에서는 교사 발달단계에 따라 교권 침해시 해결 주체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육교사는 원장이 주체가 되어 해결해야 한다는 인식은 공통적인 결과이지만 생존기, 갱신기, 성숙기 교사는 행정기관이 해결 주체로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이 많은 반면 강화기 교사는 피해당사자가 해결 주체로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발달단계에 따라 교권 침해 경험의 양상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보육교사의 교권 보호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발달단계에 적절한 근무 환경과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infringement and the demand for respons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43 child care teachers in the daycare center in Gyeonggi-do.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child care teache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infringement of teaching rights in each authority. Compared to other developmental teachers, maturity teachers had more experiences in infringement of educational rights and property rights, while consolidation and renewal teachers had more infringement of identity righ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demand for response to infringement of child care teache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s to resolve in case of infringement. The child care teacher had a common understanding that the director should be the main subject. Survival, renewal, and maturity teachers tended to recognize that administrative agencies should participate as resolution agents, while consolidation teachers tended to recognize that victims participated as resolution ag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infringement experience depending on the stage of teacher development,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appropriate working environment at the stage of development in order to protect the authority of teachers and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ism.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