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self-esteem and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종희(Jong Hee, Kim) 박성희(Sung hee,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5호, 587~6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내면화된 수치심,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대인관계 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에 재학 중인 중1~고2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구조화 된 설문을 사용하여 성실하게 응답한 1,267명의 자료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Mplus 7.2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 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대인관계 능력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능력 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건강하고 적응적인 대인관계 형성을 할 수 있게 보다 순차적인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other communication, internal shame, self-esteem, self-control, and adolesc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1,267 people who responded faithfully were used as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Mplus 7.2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ther communic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adolesc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internalized shame, self-esteem, and self-control were shown to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for adolescents to design sequential programs to form healthy and adap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