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Self-Leadership, Academic resilience 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미경(Kang, Mi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5호, 447~46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업 탄력성의 정도를 확인하고,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12월 28일부터 2018년 1월 20일까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퍼센트,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또는 ANOVA, sheffe´ test, Pearson’s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는 셀프리더십의 하부 영역에서 자기 목표, 자기 관찰, 성공적 수행 상상하기 자기 대화와 학업 탄력성의 하부 영역에서 긍정적 태도, 자기 통제, 학습 조절, 과제 책임감, 친구 지지, 부모 지지의 모든 하위 영역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를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요인은 자기 관찰(β=.180, p<.05)과 긍정적 태도(β=.0.366, p=.001)와 학과 만족도(β=.196, p<.005), 학년((β=-.297, p<.001)이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요인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를 24.7%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의했던 학년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연구 관련 변수를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중재에 대한 연구가 이어질 것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self-leadership, academic resilience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s to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43 subjects between December 28, 2017 and January 20, 201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WIN 22.0.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self-goal setting, Self-observation, Imagine a successful performance, Self-conversation, Positive Attitude, Self-Control, learning regulation, Task Responsibility, Peer supporting, Parents supporting. Influential factors that could explai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were Positive Attitude(β=.246, p=.001), Major satisfaction(β=.196, p<.001), grade(β=-.297, p<.001) and Self-observation(β=.180, <.05) with corrected R2 24.7. These result suggest that programs including related variables and study in interventions needed to be developed to improv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f nurse students. Also, it is very crucial to develop and apply a variety of nursing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these variables explaining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