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Creative Convergence Project Based on Design Think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남지연(Nam Jiy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5호, 289~30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K지역 4년제 대학의 상담심리학과와 미술학과 학생 7명의 비공학계열 학생들의 디자인씽킹 기반 창의융합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사례는 디자인씽킹 기법을 적용한「마음위로」책 완성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로 총 15주에 걸친 수업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자존감이 낮은 소외계층 초등학교 아동 4명이 참여하였고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상담심리학과와 미술학과 대학생 7명이 참여하였다. 책의 스토리라인은 참여아동들을 상담한 결과를 질적분석하였고 아동들의 의견을 충분히 공감하고 수렴하여 그들이 원하는 캐릭터 구현을 위해 최종 요구를 반영한 캐릭터와 그림을 완성하여 결과물의 질적향상을 도모하였다. 본 수업사례는 사회과학분야에서 흔히 시도되지 않는 미술학과와의 협업을 시도했다는 것과 동시에 디자인씽킹 기법을 충실히 적용한 수업사례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design thinking-based creative convergence capstone design project class of seven nonengineeri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art in K area. This case is a case study o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a book 「Mind and Consolation」completion project with using design thinking techniques. Four children with economically disadvantaged from elementary schools with low self-esteem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even college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the department of art participated in the project. The storyline of the book was qualitatively analyzed for the results of the consultation of participating children. Characters who fully sympathize with and converge children’s opinions and reflect their final needs to implement the characters they want. This case study is significant that is was a case with using design thinking techniques were faithfully applied at the same time as an attempt to collaborate with an art department that is not commonly attempted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