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태학사
- 저자명
- 고연희
- 간행물 정보
- 『문헌과 해석』통권 제66호, 206~218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국문 초록
전근대기 회화 작품들 중에서 ‘초충(草蟲)’이 무슨 의미로 그려지고 감상되었는지 탐색하고자, 지난 호에서는 ‘인물을 기롱하다’라는 주제로송대 수묵초충도 한 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번 호에서는 ‘세태를 풍자하다’라는 주제로 드러나는 원대(1279∼1368)의 채색초충도 한 권을 살피려고 한다. 이를 통해서 송에서 원으로 이어졌던 초충도 전개상의 일면을 짚어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지난 호에서 살핀 「초충도권(草蟲圖卷)」은 소식(蘇軾)의 시 「초충팔물(草蟲八物)」이 얹혀 있는 초충도로 귀뚜라미[促織], 매미[蟬], 두꺼비[蝦蟆], 쇠똥구리[蜣蜋], 하늘소[天水牛], 도마뱀[蝎虎], 달팽이[蝸牛]가 나열된 그림이
다. 「초충도권」은 송대 초충도를 원나라의 견백자(堅白子)라는 화가가 베껴 그린 모사본이었으니, 원대 초기에 이루어지던 송대 초충도 문화의계승 양상이었다. 그림 위에 적혀 있는 소식의 「초충팔물」은 초충 하나에그 시대 인물을 한 명씩 빗대어 ‘기롱’한 것이 특징이다. 거물급 인물들을 한 명씩 조그만 벌레로 풍자한 묘미와 차분한 붓질의 수묵필치가 어우러진 이 그림은 송대와 원대에 걸쳐 문인들에게 오랜 인기를 누렸다.
「초충팔물」이 얹힌 송대 초충도는 남송대를 거치며 석각(石刻)이 되어 원대로 전해졌고, 이러한 송대의 전통을 기반으로 원대에는 초충도가 더욱 발전했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