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Father’s Value for their Children on the Happiness of Father and Children: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주현(Suh, Joo 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4호, 1107~112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의 정서적, 도구적 자녀가치가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하여 아버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의 경로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6차(2013), 8차년도(2015) 조사에 모두 응답한 1,269쌍의 아버지와 아동을 대상으로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가 만 5세경에 아버지가 인식하는 자녀에 대한 정서적 자녀가치는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하여 2년 후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시기의 아버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자녀의 행복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버지의 도구적 자녀가치는 자녀의 행복감에 유의한 직접적, 간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가 자녀 양육에 있어 정서적인 가치를 높게 인식할수록 자녀에게 온정적 양육행동을 많이 하게 되고 이는 아버지의 행복감 및 아동의 행복감을 높이는 요인이 되므로 아버지가 자녀 양육에 대한 정서적 가치를 높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버지가 자녀 양육의 정서적 가치를 인식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이 아버지와 자녀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조기 개입 방안으로 추천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for investigating structural relationships about the effect of the father’s emotional/instrumental value for their children on happiness of father and their children mediated by warm/dominant parenting behaviors. The data were derived from research of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 data of 1,269 Pairs of father and their child who participated in both 6th and 8th Panel Study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and AMOS. To verify mediating effects, Bootstrapping methods were used. Results is as follows. Father’s emotional value for their children affects happiness of father mediated by warm parenting behaviors and it affects the happiness of their child. Father’s instrumental value for their children didn’t affects happiness of father and their child. This results is significant as it verifies the importance of father’s emotional value for their children. It also implies the intervention or execution of program to promote fathers’ perception of the emotional value of their children can improve fathers’ warm parenting behaviors and this may lead to heighten father’s happiness and to the end children’s happiness, too.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