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vestigation into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self, peer, and expert assessment methods in the microteaching for ESL reading skil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연희(Kim, Youn-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4호, 715~74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어 읽기 수업 시연에 나타난 예비 및 현직 교사들의 자기, 동료 및 전문가 평가 방식의 엄격성 및 유용성을 양적 및 질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예비 교사 집단으로 구분되는 사범대학교 영어교육과에 재학 중인 4학년 학부생 12명과 현직 교사 집단으로 구분되는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들 중에서 현장 교육 경력이 2년 이상인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영어 읽기 수업 시연에 대한 자기, 동료 및 전문가 평가를 실시한 결과, 예비 교사 집단은 전문가 평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현직 교사 집단은 전문가 평가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예비 및 현직 교사 집단은 영어 읽기 수업 시연에 사용된 자기, 동료 및 전문가 평가 시행의 수월성 및 평가 내용이 영어 읽기 교수법 향상에 미치는 유용성에 관하여서도 상이한 반응을 보였는데, 예비 교사 집단은 현직 교사 집단과 비교하여 자기 및 동료 평가 시행의 수월성이나 자기 및 동료 평가의 내용이 영어 읽기 교수법 향상에 미치는 유용성에 관하여 보다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단위 학교에서 학생들의 수행을 평가할 때 자기 평가를 실시하는 것에 관하여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또한, 전문가 평가의 유용성에 관하여서도 예비 교사 집단이 현직 교사 집단보다 다소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하지만, 단위 학교에서 학생들의 수행을 평가할 때 동료 평가를 실시하는 것에 관하여서는 여러 가지 제한점으로 인하여 예비 및 현직 교사 집단 모두 상당히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어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적,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everity and usefulness of the three different assessment methods (i.e., self, peer, and expert assessment) that appeared in the English reading micro-teaching performanc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groups. This study used a pre-service teacher group comprised of 12 undergraduate students and an in-service teacher group comprised of 17 graduate student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e-service teacher group received the highest score when their English reading micro-teaching performance was assessed by the expert, whereas the in-service teacher group received the lowest score when their English reading micro-teaching performance was assessed by the expert. In addition, the pre-service teacher group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all three assessment methods. However, both teacher groups were quite conservative in render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opportunity to make use of peer assessment in a real-life classroom context. Based up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several educational and political suggestion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