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oetry writing education through imagery of exper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손예희(Son, Ye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4호, 559~5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국문 초록
연구는 시 창작교육에 있어서 체험의 이미지화라는 하나의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시론적 성격을 띤다. 시를 통해 체험의 이미지화 양상을 살피는 것은 시의 생산과 수용, 두 측면에서 모두 인식의 폭을 넓히고 삶의 의미를 확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작품을 생산한 시인의 사적 맥락을 따라가며 작품에 담겨진 체험의 면모를 살피는 것은 독자로 하여금 체험의 의미를 새롭게 바라보고 창작으로 나아가는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시 창작교육에 있어서 하나의 가능성을 살피기 위해 체험의 시적 이미지화 양상이 잘 드러나는 시인 박남수와 그의 작품을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이를 통해 언어적 사유 방식 이해, 표상의 매개로서의 세계 이해라는 시에 나타난 이미지 이해의 과정이 박남수 시에서 자기 분신으로서의 대상 발견, 시인이 상정한 공간 안에서의 관계 맺기와 맞물려지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이는 시 창작교육에 있어서 시에 나타난 이미지를 이해하고 체험을 이미지화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the image of experience in poetry writing education. Examining the aspect of the image of experience through poetry can play a role in broadening awareness and expanding the meaning of life in both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poetry. In particular, following the private context of the poet who produced the work and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experience contained in the work can provide the reader with a new look a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nd move on to writing. In this study, the poet Park Nam-soo and his works were discussed to examine the poetic image of experience. The imaging aspect of the experience in Park Nam-soo s poems was found by discovering the object of bird as self-alteration, establishing a relationship in the space assumed by the poet, and building an image in a multi-layered context. This can provide a way of image of experience in poetry writing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시에 나타난 이미지 이해의 과정
Ⅲ. 박남수 시에 나타난 체험의 이미지화 양상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