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eacher- and School-Level Variables Influencing on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욱(Kim, Jin-Uk) 차성현(Cha, Sung-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4호, 249~2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일반고를 대상으로 교사 의사결정 권한에 영향력을 미치는 교사와 학교 변인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의 38개 일반고, 350명의 교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위계적 자료 구조를 반영하여 2수준 다층모형분석(two-level multi-level analysis)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인지하는 의사결정 권한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교사 개인변수로는 교사 직위와 교사 열의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특성 변인으로는 교장의 학력과 학교장 리더십이 교사의 의사결정권한에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사립에 비해 국공립학교, 학교평균 교원의 교육경력이 낮을수록, 전체 학급 수가 많을수록,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적을수록, 교내 교사모임 활성화가 잘 되는 학교일수록 교사의 의사결정권한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 전문성과 자율성 신장에 대한, 아울러 이들과 교사 의사결정권한 간의 관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any factors influencing on teacher decision-making authority in two levels, one of which is teacher level and the other is school level. The subjects were teachers working at general high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individual level variables, teacher position and teacher passion were found significant in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model 2 analysis which was analyzed by principal-related variables after controlling teacher level variables, princip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incipal leadership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 decision-making authority. As the final stage, school level variables were examined to analyze the model 3. In the result, the decision-making authority of the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or public high schoo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achers at private high schools. In addition, the teacher decision-making authority was significantly higher as the average teacher career in school level was lower, the number of classrooms increased,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was lower,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school was more activ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more explorative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eacher decision-making authority including more research on its status quo in Korea setting as well as the necessity to explore empirical study. Nex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eachers with more individually adaptive training programs by excavating socio-psychological and ethnographical factors. Last, it is desirable to help those enthusiastic teachers eager to improve autonomy and expertise through directive support like financial aid to their voluntary learning communit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