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Regarding the Creativity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주연(Kim Joo Yo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4호, 181~19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 어머니가 인식하는 창의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부모교육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창의성에 대한 부모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2018년 7 ~ 8월에 걸쳐 유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S백화점 게시판을 통해 지역별로 10명씩 모집하였다. D지역, G지역, H지역, K지역에 거주하는 어머니들의 목소리와 대화를 통해 구성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Creswell의 분석절차를 기반으로 근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성에 대한 인식은 ‘다양성이 느껴지는 새로운 아이디어’ ‘살아남기 위한 방법’ ‘카더라 통신의 잘못된 정보로 불안감 조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성에 대한 부모의 목소리를 담은 교육 필요로 ‘발달에 맞는 교육’ ‘실생활 연계 교육’ ‘ 진정성이 느껴지는 교육’ ‘실천교육’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성을 평가도구 및 선행학습으로 모호함을 드러냈으며 1차적인 환경인 가정에서 창의성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활성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교육의 인식과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bserves the perception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regarding the creativity of education along with demands for the vitalization of parent education and attempts to present direction for parent education regarding the creativity of education.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s,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re recruited in numbers of ten by region through the message board of S Department Store during the months of July and August in 2018. Data composition was made through the opinions and conversations of mothers residing in D, M, H, and C and data analysis was based on the analysis procedure of Creswell. Research results showed, first, that perceptions of creativity were shown to be ‘new ideas of diversity’, ‘survival methods’, ‘the creation of anxiety through incorrect information delivered through rumors’. Second, education rewards that encompassed the opinions of parents towards creativity included ‘education that suits development’, ‘education connected with actual life’, ‘education that feels sincere’, and ‘practic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vagueness of creativity through evaluation tools and prior learning and it proposed proper perceptions and direction regarding education for the vitalization of creative education in the primary environment of the hom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