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대중음악 금지사 일 고찰

이용수 137

영문명
Review of Korean Pop Music Bans : Focusing on the Park Chung Hee regime and the Chun Doo Hwan regime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정주신(Chung, Joo-Shin)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4권 제1호, 59~9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대중음악 금지 및 규제와 관련 박정희 정권과 전두환 정권을 중심으로 군부정권이 집권욕과 억압성으로 대중음악 규제조치의 제도화 과정과 금지곡 기준 및 내용이 대중음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고찰했다. 특히 기존 연구의 경향과는 달리 군부 권위주의정권의 특성상 유불리를 따지는 그들의 행태에 따라 ‘선택’(Choice)과 ‘배제’(Exclusion)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대증음악을 민간인보다는 군부의 관점에서 억압통치의 일환이자 차별화 전략으로 사용했다. 여기서 군부정권하의 대중음악 금지사 일 고찰은 군부정권이 금지곡을 제도화시켜 대중들에게 음악의 이해와 표현의 자유를와 탄압시키는 요체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군부의 체제유지와 상관성이 있는 집권욕과 폭압성을 꾀하는 역할로써 동시성을 보여준 융합연구의 사례이다. 첫째, 군부정권하의 금지곡은 특히 박정희정권 시절에 대부분 이뤄진 곡들로, 통치권자의 집권욕이나 폭력성에서 이뤄진 것이어서, 금지곡의 잣대가 노래를 만들고 부르는 사람들의 창작성과 정당성을 배제한 것이었다. 둘째, 군부정권하의 금지곡 해제는 1987년 6월항쟁의 추세에 맞춰 이뤄진 졌다는 점에서, 표현 강제와 폭압성을 보여준 군부정권이 국민적 항쟁에 항복하고 나서야 이뤄졌다. 결국 공안(公安)의 측면보다는 풍속(風俗)의 측면에서의 금지곡이 많았다는 것은 사회문화적으로 군부정권이 폭압성을 드러낸 대중탄압이 심했다는 증표였다.

영문 초록

The article examined how the military regime, led by the Park Chung-hee regime and Chun Doo-hwan regime, influenced popular music by the regime s desire and oppression. In particular, the term Choice and Exclusion were used as part of the military’s repressive rule and as a strategy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military’s perspective, using the terms Choice and Exclusion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military’s authoritarian regimes, contrary to the trend of existing research. The review of banning pop music under the military regime here is an example of a fusion study in which the military regime systemizes banned songs and oppresses the public with freedom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but on the other hand, it has shown concurrency as a role of seeking to maintain the military s regime and tyrannize it. First, the banned songs under the military regime were mostly performed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which ruled out the creativity and legitimacy of those who made and sang songs, as they were performed by the ruling party’s desire for power or violence. Second, the lifting of the banned song under the military regime was made only after the military regime surrendered to the national uprising, in that the song was made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June 1987 uprising. After all, the fact that there were many banned songs in terms of wind speed rather than in terms of public security was a sign that the military regime was severely oppressed by the public, socially and cultural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방법
Ⅲ. 대중음악 규제조치의 제도화 변천
Ⅳ. 대중음악 금지곡의 기준과 그 사례
Ⅴ. 결론: 의의와 평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주신(Chung, Joo-Shin). (2020).한국 대중음악 금지사 일 고찰. 한국과 국제사회, 4 (1), 59-90

MLA

정주신(Chung, Joo-Shin). "한국 대중음악 금지사 일 고찰." 한국과 국제사회, 4.1(2020): 59-9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