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utor’s Emotional Leadership, Tutee’s Self-Determinated Motivation, Satisfaction and Tutoring Performance in College Peer Tutoring Progra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정(Kim Min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3호, 1085~111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피어튜터링에서 튜터의 감성리더십, 튜티의 자기결정성동기, 만족도, 튜터링 성과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19학년도 1학기에 경기도에 소재한 한 대학에서 실시된 피어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티 241명의 자료가 수집 및 분석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튜터의 감성리더십은 만족도와 튜터링 성과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며, 튜티의 자기결정성동기 또한 만족도와 튜터링 성과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는 튜터링 성과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의 부분적 매개효과는 튜터의 감성리더십이 튜터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피어튜터링 상황에서 그간 간과되어 왔던 감성리더십과 자기결정성동기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였으며, 효과적인 피어튜터링 운영을 위한 감성리더십 및 자기결정성동기 증진 전략과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utor’s emotional leadership, tutee’s self-determinated motivation, satisfaction, and tutoring performance in college peer tutoring program. For this study, the data of 241 tutees who participated in a peer tutoring program at a college in Gyeonggi province was collected and analyzed. To find out the relation of each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utor s emotional leadership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atisfaction and tutoring performance . 2) tutee’s self-determinated motivation directly affected satisfaction and tutoring performance, and indirectly affected tutoring performance through satisfaction. 3) satisfaction was the strongest variable affecting on tutoring performance , in addition, mediating effect of tutee’s satisfaction was greater in the process of tutor’s emotional leadership affecting tutoring performance .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th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and self-determinated motivation that had been neglec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 Also, this study suggested some strategies and methods to enhance emotional leadership of tutors and self-determinated motivation of tutees for the effective peer tutor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