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ime Series Characteristics and Topics in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Classroo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변태진(Byun Taejin) 안유민(Ahn Yu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3호, 471~49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15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공통 과목으로 신설된 통합과학 수업을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통합과학의 교수학습 및 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2차시에 걸쳐 통합과학 수업을 관찰하고 시계열 분석과 개방적 코딩 방법에 의한 심층 분석을 실시하여 통합과학 수업의 주요 양상을 개략적으로 파악하고 통합과학 수업의 특징을 드러내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시계열 분석 결과에 따르면 통합과학 수업은 학생들의 모둠 활동과 교사의 활동 안내가 우세한 양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통합과학 수업의 주제로는 ‘나눔과 소통을 강조하는 협동학습’, ‘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새로운 매체 도입’,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 양상’, ‘ 과학 지식 구조화는 선생님의 몫’의 4가지가 도출되었다. 이와 관련한 주요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에서 통합과학 담당 교사 간 협의의 중요성 및 통합과학 운영과 관련한 다양한 모델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둘째, 학생 중심의 조사 활동에서 양질의 자료 획득을 위한 교사의 안내 및 교수학습 과정에서 피드백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 하는 통합과학 내용의 수준과 범위 및 교육과정 내에서의 연계가 더욱 명확하게 안내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넷째, 통합과학 실행에서 교사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이해하여 합리적이고 점진적인 절충을 통해 통합과학의 신설 취지에 부합하여 안착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of integrated science by gaining in a diverse and in-depth understanding the integrated science class newly established as a common subjec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do this, the integrated science classroom was observed over 12 lessons, and the in-depth analysis by time series analysis and open coding method was conducted to grasp the main aspects of the integrated science classroom and to derive the topic tha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science classroom.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analysis, the integrated science classroom was found to have the advantage of group activities and guidance of teachers. In addition, the four subjects of integrated science classroom were cooperative learning that emphasizes sharing and communication , introducing a new medium that is naturally accepted , some aspects of feedback provided by teachers , and structuring of science knowledge by teachers. respectively. The main discussion in this regard is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consultation between teachers in charge of integrated science and the possibility of various mode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the unit school were explored. Second, w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feedback in the process of teacher guida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to obtain quality data in student-centered research activities. Third, it was proposed that the level and scope of the contents of integrated science to be dealt with in the curriculum and the linkage within the curriculum should be more clearly guided. Fourth, it was discussed that the difficulties faced by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should be settl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establishing integrated science through rational and gradual compromi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