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re-appreciation Teacher Context on the Appreciation of Learned Readers: Using LDA and LDAv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배재훈(Bae Jae h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3호, 165~19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감상 전 교사 맥락이 학습독자의 감상에 미치는 영향을 토픽모델링 방법인 LDA와 LDAvis로 그 결과를 시각화하여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감상 전 교사 맥락의 투입 유무에 따라 통제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감상 활동을 실시하여 총 158명의 감상 프로토콜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LDAvis의 좌표 차원의 ‘밀집 지점’과 ‘산개 지점’의 비교를 통해 교사 맥락을 통해 ‘작품의 의의, 작품의 해석 방향, 교사를 통한 동기 점화’ 요소가 학습독자 감상에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한 문학 감상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 높거나 주제를 이해하기 어려운 텍스트에 대하여 교사 맥락이 감상의 비계(scaffolding)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교사 맥락을 통해 학습독자는 문학 작품에 능동적으로 다양한 의미 구성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eacher context on the appreciation of the Learned Readers by using the LDA and LDAvis. A total of 158 review protocol texts were collected by dividing them into control groups and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in teacher context before the appreciation. The comparison between LDAvis coordinate-level separation points and mountain points showed that ‘the meaning of the work, the direction of interpretation of the work. motivational ignition through the teacher’ factors had an effect on the learner s appreciation. The following a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literary appreciation through research results. First, it suggests that teacher context may be an scaffolding of appreciation for text that is high-quality or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ubject. Second, through teacher context, the it suggests it is possible to actively organize various meanings in literary works.
목차
Ⅰ. 서 론
Ⅱ. 감상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맥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