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정가원 홍승아 김난주 김수진 성지혜
- 간행물 정보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20 연구보고서 (기본), 1~176쪽, 전체 17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국문 초록
Ⅰ. 서론
1. 연구 목적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첫째, 가족구성원이 인식하는 가족친화 지역사회 환경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친화 지역사회 환경조성 정책의 방향성을 도출함. 둘째, 전국의 가족친화 지역사회 환경조성 정도를 측정하는 실태조사의 정합성과 활용도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함. 셋째, 가족친화 마을 조성 유관 정책 및 유사사업 현황을 분석하여 가족친화적 공동체 조성을 위한 정책대안을 도출함.
2. 연구내용 및 방법
□연구내용은 ①가족친화 지역사회 환경 조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 검토, ②가족친화 지역사회 환경에 관한 일반인 인식 분석, ③지역사회의 가족친화도 측정 필요성 검토 및 측정방식 개선방안 도출, ④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정책 추진방향 도출을 포함함.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일반인조사,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활용함. 문헌연구를 통하여 삶의 질과 지역사회, 공간의 질 관련 이론적 논의, 가족친화 지역사회 환경 조성 관련 선행연구,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유관 정책?사업 현황을 검토함. 일반인조사는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1:1 면접조사 또는 온라인조사를 통해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환경의 개념 및 구성요소(예: 서비스 인프라, 가족친화 사회문화 등), 지역 공동체 조성 지원의 필요성 및 방식에 관한 의견 수렴,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지원 욕구 등을 파악함. 마지막으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연구방법, 분석결과, 정책대안에 대한 자문의견을 수렴함.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Ⅱ. 연구의 배경
1. 선행연구 검토
2.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정책 개요 및 추진현황
Ⅲ.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유관 정책 및 사업현황
1. 여성친화도시
2. 도시재생사업
3. 고령친화도시
4. 아동친화도시
5. 소결
Ⅳ. 지역주민의 가족친화 지역사회 인식 및 요구
1. 조사개요
2. 가족친화 사회환경에 관한 지역주민 조사
Ⅴ. 정책 방향 및 향후 과제
1. 정책 방향
2.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실태조사 개선방안
3. 향후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