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English Course Boo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희정(Ihm, Hee-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호, 947~96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의 내용 언어 초등영어 수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감에 따라 초등영어수업과 연계될 수 있는 내용 언어 통합 교재개발을 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국내 사교육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CLIL 교재 시리즈 3단계의 교재 11권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언어 수준과 내용, 어휘의 양적 분포, 2015교육과정 과학, 사회 내용 체계측면에서의 내용 분포 및 빈도 요소를 중심으로 교재의 어휘와 활동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과학 내용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진 영역은 생물의 구조와 에너지 영역으로 동물, 식물의 구조와 기능이었다. 사회과 영역은 인문환경과 인간 생활영역이 내용 소재로 가장 많이 인용 되었다. 활동 유형 면에서 읽기 중심의 내용 확인문제가 단계가 높아질수록 많아지고, 상호작용, 내용 탐구기반의 활동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습자의 내용어휘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 시키며, 인지능력을 고려한 활동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언어와 내용의 수준을 체계적으로 반영한 교재에 대한 연구가 후속연구에서 요구되어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learning(CLIL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English classes as the interest in CLIL classes increases in Korea. Eleven CLIL textbooks from a private publishing company were analyzed. The focus of the analysis was on language level, content distribution in terms of 2015 curriculum-based science and social studies contents.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two most frequently covered areas in science are the structure and energy area of living things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nimals and plants. The frequently appeared topics of social studies area the human environment and human life area. In terms of the type of activity in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 reading comprehension activities based on information texts increased, and the interaction-based content inquiry-based activity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For further study, analysis of various types of CLIL textbooks and development of a vocabulary list linked to the 2015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