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희(Kim Eun Hee) 유준호(Ryu Jun H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호, 111~1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01

국문 초록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예비초등교사가 인식한 ‘좋은 수업’의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유아교육과 학생 5명과 초등교육과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저널쓰기를 통해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수집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와 예비초등교사의 인식한 ‘좋은 수업’의 공통적인 요건은 활동중심 수업, 아동중심 수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와 예비초등교사는 ‘아동중심 수업’에 대한 해석과 ‘교육내용 범위’에 있어서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유아의 요구와 흥미에 맞추어가는 발현적 교육과정을 좋은 수업으로 인식한 반면 예비초등교사의 경우에는 가르쳐야 할 교과 내용에 충실한 범위 내에서 학습자 중심의 활동중심 참여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인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양자 간의 견해 차이에 대한 해석과 유초연계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The subjects were pre-service 5 student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5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wrote the journals on the meaning of teach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 meaning of good teaching as considering the process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result , child-centered Understanding children . Second, pre-servic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meaning of good teaching as dynamic and creative , substantial subject matter , activity-oriented curriculum . For connecting education from kindergarten to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one anoth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