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Project Goals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Evaluation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전광섭(Jeon Kwang Sub)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79輯, 67~7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목표 중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정책평가에서 반영하여야 할 요소들의 가중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모형 중 조리개(렌즈)모형을 적용하여 정책이해관계자들이 가지고 있는 가치의 우선순위를 측정하였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목표와 성과평가지표가 포함하고 있어야 할 속성, 즉 지향해야 할 속성으로 편이성, 포용성, 경제성, 그리고 다양성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 도시재생 담당 공무원은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사업(정책)목표가 포용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 지방자치단체의 읍·면·동 주민센터 공무원은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사업(정책)목표가 경제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은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사업(정책)목표가 다양성, 편이성, 포용성 등을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eights of the goals to be promoted among the goals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2) RESEARCH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lens model is applied in this study. The model measur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value that should be prioritized in setting the Urban Renewal New Deal goals recognized by experts.
(3)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objectives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were: convenience, inclusiveness, economic feasibility, and diversity.
2.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primary findings. First, The goals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should include convenience, inclusion, economics and diversity. Specifically, the officials, who belong to the headquater, recognized that it was important for the policy goal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to be inclusive. On the other hand, the first line officicals, who belong to the branch office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conomic feasibility of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dditionally, the experts recognized that the policy objective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should be diverse, easy and inclusiv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성과평가지표의 가중치 분석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