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mily reaction experienced by sexual assault victims: latent profil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최지현(Choi, Jihyeon) 김재엽(Kim, Jae-yop)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1집 4호, 61~8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들이 성폭력 사실을 가족에게 알렸을 때 경험한 가족의 반응을 탐색하고, 가족의 반응이 성폭력 피해 후유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심한 성추행, 강간미수 및 강간의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으며 가족에게 성폭력 피해를 알린 경험이 있는 88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폭력 피해를 알렸을 때 가족의 반응은 3개 잠재계층-반응이 약하고 변화가 적음, 고수준의 긍정적 반응, 적극적인 형태의 부정적 반응-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잠재계층간의 성폭력 피해 후유증에는 명확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성폭력 피해를 알았을 때 가족이 ‘반응이 약하고 변화가 적은’ 집단의 후유증이 가장 약하고, ‘적극적인 형태의 부정적 반응’을 보인 집단의 후유증이 가장 심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폭력 피해자가 경험한 가족 반응의 양상, 가족 반응의 중요성, 성폭력 피해자 지원에서 가족으로 지원 영역을 확대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family reaction toward disclosure of sexual assault experience by the victims and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reaction on victim’s sequelae. The authors analyzed 88 victims’ cases with experience of sexual assault and disclosing the assault to the family. The analysis discovered that the family reaction toward the disclosur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latent classes and the three groups corresponding to these classes showed distinctly different sequelae patterns. The authors discuss patterns of family reaction experienced by the victims, the importance of family reaction, and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focus of public policy from supporting individual victims to supporting the fami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