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BAR Handeover Education on Nursing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Self-leadership and Clinical Judg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혜정(Hwang Hye Jeong) 김현희(Kim Hyun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호, 751~76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문직간의 의사소통역량 개발을 위한 간호대학생을 대학생으로 SBAR인수인계 교육이 의사소통능력 및 셀프리더십, 임상판단력의 효과를 검증하기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2일부터 8월2일까지 진행하였고, 연구대상자는 G시의 H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을 학생으로 실험군 34명 대조군 35명이었다. 실험군에게 SBAR인수인계 교육을 진행하였고, 대조군에는 일반 인수인계 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SBAR인수인계 교육을 진행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의사소통능력에 향상이 있었고(t=1.912, p<.1), 셀프리더십에 향상이 있었고(t=1.685, p<.1), 임상판단력이 향상되었다(t=7.127, p<.001). 본 연구를 통해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수인계 교육은 의사소통능력, 셀프리더십, 임상판단력에 도움이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보다 구조화된 의사소통인 SBAR인수인계교육이 더 효과적임이 확인이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BAR인수인계교육이 예비간호사인 4학년을 대상으로 환자의 인수인계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 효과적인 인수인계 교육방법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study before and after the non-identical control group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skills, self-leadership and clinical judgment skills of the nursing student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mong professionals as a college student. The research period was conducted from March 2nd to August 2nd, 2019, subjects of the study were 34 experimental groups and 35 control groups as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H University in G City. In addition, the acquisition patient handover training was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SBAR handover education and in the control group, general handover training was conducted using. The study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patient handover education using SBAR handover education had better communication skills than the control group (t=1.912, p<.1), improved self-leadership (t=1.685, p<.1), and improved clinical judgment (t=7.127, p<.001). Through this study, patient handover education for fourth grade nursing students was confirmed to be helpful for communication skills, self-leadership and clinical judgment, and SBAR handover education, a more structured communication,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ese results will be an effective method of SBAR handover education for fourth graders nursing students, who are prospective caregivers, by providing guidelines for patient handov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